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기준금리 '동결'에도 은행권 대출금리 '상승세'…왜?

2023-03-06 35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기준금리 '동결'에도 은행권 대출금리 '상승세'…왜?<br /><br /><br />한동안 주춤했던 은행의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한숨 돌리나 했던 대출자들의 근심도 다시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은행 금리가 다시 오르는 배경은 무엇인지 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3.5%로 동결하며 숨 고르기에 나섰지만, 주요 은행의 대출금리는 오히려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인데 대체 얼마나 올랐나요?<br /><br /> 시중은행의 대출금리가 오른 배경으로 은행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 꼽히고 있는데 왜 그런 건가요? 미국의 고강도 긴축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경계감 때문일까요?<br /><br /> 금융당국이 '은행권 돈 잔치'를 비판하며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는데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추는 식으로 대응할 여지는 없을까요? 기준금리와 대출금리가 따로 놀며 향후 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전세보증금까지 포함할 경우 3천조 원에 육박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. 2021년 기준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5.8%이지만 전세보증금을 포함하면 156.8%였다는데 어떤 의미가 담겨있나요?<br /><br /> 현금서비스 등 규제권 밖 고금리 대출이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. 가계부채가 언제든지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자산시장 연착륙을 위해 어떤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까요?<br /><br /> 지난해 취업자 수가 전년보다 82만 명이나 증가했지만 앞으로 5년간 연평균 취업자 수 증가 폭은 7~12만 명 수준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취업자 수 증가 폭 축소는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큽니다. 잠재성장률은 노동공급과 자본 및 총요소생산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인데요.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